top of page
좋은열쇠 임원 사진 (4).png

(전)한국금융소비자학회 부회장

고려대학교 특임교수

조 홍 균

Hong Kyoon Cho

금융, 경제, 법을 통섭하는 학문적 및 실무적 배경을 갖춘 법/제도경제학자(legal/institutional economist)이자 중앙은행가(central banker)로서 금융경제를 중심으로 한 정책과 제도를 연구했습니다. 한국은행의 정통 금융경제정책 라인을 거쳐 경제연구원, 금융감독원, 한국금융연수원 교수, 한국금융소비자학회 부회장, OECD, 언론기관 논설위원, 학계 등 종합적 경력과 전문성을 쌓아왔습니다. 통화정책, 금융정책, 금융감독, 금융제도, 경제정책, 기업정책, 법정책학, 정치경제학, 입법론 등 분야 실무와 정책 전문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관련 분야

법/제도 경제학
입법론
금융 정책
통화 정책
금융 감독
기업 정책
법정책학
정치경제학

학력 및 경력사항

학력

· 고려대 경영학과 졸업
· 서울대 대학원 경영학과 졸업(재무관리 전공)
· 미국 워싱턴대 로스쿨 J.D.
· 미국 워싱턴대 로스쿨 J.S.D.(법학박사, 법경제학 전공)

경력
· 한국은행(조사제1부/국제부 조사역, 정책기획국 팀장, 경제연구원 차장, 커뮤니케이션국 부국장)
· OECD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pert Subgroup Member
· 금융감독원 거시감독국 파견국장
· 인재개발원 부원장 및 원장겸무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부회장
· 한국금융연수원 교수
· 경제연구원 부원장
· UPI뉴스 논설위원
· 고려대 특임교수(현)

연구 업적

1. 저서

    
· 『우리 시대의 금융경제 읽기』,박영사, 2025.3

· 『대전환의 시대 정책 패러다임의 성찰: 어느 중앙은행가의 메모』,한국은행, 2024.9

· <총괄 저자>『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전면개정판)』,한국은행, 2021.12(고등) 

· <총괄 저자>『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이야기(전면개정판)』,한국은행, 2020.11(일반) 

· <총괄 저자>『가족과 함께 읽는 경제교실』,한국은행, 2020.3

· <총괄 저자>『한국은행과 함께 하는 경제 콘서트』,한국은행/서울신문, 2015.2

2. 보고서

· <총괄 저자>『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메모,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거시건전성정책 체계 등 정책보고서』,한국은행, 2010~2015(총재)

· <총괄 저자>『비교법제적 관점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향후 전략의 모색,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 등 정책보고서』,한국은행, 2010~2015(금융통화위원회)

3. 논문
· "일본경제 바뀌고 있나 – 정책과 시장 회고와 전망", 『高友經濟(고대경제인회)』제43권 제2호 통권제137호(2024.10)

· "통화지배, 재정지배, 금융지배의 함의와 과제",『高友經濟(고대경제인회)』제42권 제2호 통권제135호(2023.10)

· "법과 통화정책 – 어느 실무가의 메모" 『법과 정책 연구(한국법정책학회)』제10집제3호(2010.12)

· "통화정책 목표에 대한 법제적 접근의 모색" 『고려법학(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제59호(2010.12)

4. 프로젝트

2025.1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정책 진단 및 전망(SBS 생방송 출연)_대본 집필 및 해설자로 출연(앵커1, 해설자1)

2021.9~2022.2    「신실한 실패: 재현 불가능한 재현」 전시(부산현대미술관) 연계 특별강연/YouTube 제작_특별강연 주제: 추상으로서의 금융과 리얼리즘_대본 집필, 특강,유투브제작

2021.4~2021.12.  「풀어서 듣는 경제강의」한국은행 제작 YouTube 시리즈 총 9편 제작(중앙은행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일환)_대본 집필 및 해설자로 출연(아나운서1, 강사1, 해설자1)

1. 통화정책이란?

2. 코로나19 이후의 통화정책

3. 중앙은행과 금융안정

4. 대내외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시장

5. 기업경영분석Ⅰ

6. 기업경영분석Ⅱ

7. 국제수지와 환율

8. 외환시장과 중앙은행의 역할

9. 우리나라 고용구조와 과제

bottom of page